-
샤오미 공기청정기 청소 방법(최대 가능한 범위에서)생활 테크 제품 TIP 2025. 3. 8. 22:47
오늘은 샤오미 공기청정기를 모델별로 어떻게 분리·청소해야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샤오미 공기청정기 모델(예: Mi Air Purifier 2, 2S, 3, 3H, 3C, 4 Lite, 4 Pro, Pro 등)이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나 필터 교체 방법은 비슷한 편이지만, 세부적인 부품 위치나 분해 과정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기기별 사용 설명서를 함께 참고해주세요. 여기서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청소 방법과 주의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일반 사항을 중심으로 하는 이유는.. 샤오미 제품은 분해하기 시작하면 거의 부러집니다.. 유튜브를 보시면 아실꺼에요.. 여기까지가 한계구나.. 라고 하심이 좋습니다!
1. 사전 준비 & 주의사항
- 전원 차단
- 가장 먼저, 제품을 완전히 끄고 전원 코드를 뽑아야 안전합니다.
-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분해하면 감전이나 기기 손상의 우려가 있습니다.
- 작업 공간 확보
- 공기청정기를 뒤집거나 옆으로 눕혀야 할 수 있으므로, 탁 트인 공간에서 청소하는 것이 편합니다.
- 먼지나 필터 찌꺼기가 떨어질 수 있으니 신문지, 천 등을 바닥에 깔아두면 좋습니다.
- 기본 도구
- 마른 천(극세사 추천)
- 부드러운 솔 브러시(작은 페인트 브러시, 칫솔 등)
- 진공청소기(가능하다면 붓 형태의 노즐 포함)
- 면봉(센서나 틈새 부분 청소용)
- (선택) 순한 중성세제를 미지근한 물에 희석한 용액
- (선택) 압축 공기 스프레이(내부 먼지 제거용)
- 정품 필터 유지
-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정품 필터 교체를 전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청소로 어느 정도 연장해서 쓸 수 있지만, 교체 주기에 맞춰 새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공기 질 유지에 가장 좋습니다.
- 보증 범위 확인
- 기기의 주요 부품(모터, 센서 등)을 무리하게 분해하다 보면 보증이 무효화될 수 있습니다.
- 안전 문제가 우려되거나 내부 부품 교체가 필요한 경우, 서비스 센터 방문을 권장합니다.
2. 모델별 기본 분해·청소 방법
2.1 Mi Air Purifier 2/2S 시리즈
- 후면 커버 제거
- 뒷면 커버(또는 측면 커버)의 홈을 잡고 당겨서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이 커버를 열면 원통형 필터가 보입니다.
- 필터 분리
- 필터 상단에 달린 끈을 잡아 빼내면 됩니다.
- 필터에 묻은 먼지는 가볍게 두들기거나 진공청소기로 빨아내고, 필요하다면 바깥쪽만 살짝 물티슈로 닦아주세요(완전히 젖은 세척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 내부 먼지 제거
- 필터를 빼낸 상태에서 기기 내부를 진공청소기와 솔 브러시로 쓸어내듯 청소합니다.
- 모터 부분은 손대지 않는 것이 좋으며, 먼지만 살짝 제거합니다.
- 센서 청소
- 2S 모델은 레이저 센서가 달려 있어, 측면 센서 덮개(작은 직사각형 부분)를 열고 면봉으로 부드럽게 닦아줍니다.
- 센서는 굉장히 민감하므로 강한 충격은 금물입니다.
- 재조립
- 필터를 다시 넣고, 뒤쪽 커버를 닫은 뒤, 전원을 연결해 작동시킵니다.
2.2 Mi Air Purifier 3/3H/3C
- 후면 커버(또는 측면 커버) 열기
- 2/2S 시리즈와 비슷하게 뒤쪽 또는 측면 커버를 열면 필터가 바로 보입니다.
- 3C의 경우 필터 커버가 정면으로 열리는 구조인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 필터 및 내부 청소
- 필터를 빼낸 후, 필터 겉면을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빨아들이거나 물티슈로 가볍게 닦습니다.
- 내부는 마른 천, 브러시로 먼지를 털어내면 됩니다.
- 센서 청소
- 3H, 3C 등은 측면이나 후면에 센서 커버가 존재합니다.
- 커버를 연 뒤 면봉으로 살살 닦아주면 정확도가 유지됩니다.
- 팬(송풍구) 부분
- 상단부 혹은 내부 팬 주변으로 먼지가 많은 편이므로, 브러시와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 날개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재조립
- 필터와 커버를 원위치에 맞춰 조립 후, 전원을 연결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2.3 Mi Air Purifier 4/4 Lite/4 Pro/Pro 시리즈
- 디자인 차이
- 4 시리즈나 Pro 시리즈는 커버 구조가 조금 더 슬림해졌고, LED 디스플레이나 센서 위치가 살짝 다릅니다.
- 하지만 기본적으로 커버를 제거해 필터를 교체한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 필터 분리
- 기기 후면(또는 측면)에 있는 패널을 열고 필터를 잡아당겨 빼냅니다.
- 필터도 360도 원통형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붙어 있는 상태를 확인합니다.
- 내부 및 송풍구 청소
- 내부의 팬과 측면 벽을 브러시나 면봉으로 털어내고, 진공청소기로 흡입하면 깨끗해집니다.
- 일부 모델은 상단 그릴을 빼낼 수 있는 구조이므로, 분리가 가능하다면 참고 설명서에 따라 그릴도 살짝 제거하고 청소하세요.
- 센서 청소
- 측면 혹은 후면에 위치한 센서 덮개를 열어서 센서를 면봉으로 살살 닦아냅니다.
- 습기가 남지 않도록 유의해야 센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조립 후 점검
- 필터를 다시 정확한 방향으로 넣고, 커버를 닫으면 됩니다.
- 전원을 연결한 뒤, 디스플레이나 앱을 통해 작동 상태를 확인해보세요.
3. 세척 시 주의할 점
- 필터를 물에 담그지 않기
- 대부분의 샤오미 공기청정기 필터는 습기에 민감합니다.
- 필터를 물 세척하면 성능이 떨어지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가급적 진공청소기나 마른 솔로 관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센서 부품 취급 주의
- 센서는 매우 민감한 부품이므로, 가볍게 닦는 정도만 진행하세요.
- 화학 세정제나 물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기계 부품(모터, 회로) 무리한 분해 금지
- 모터와 회로 부분은 직접 분리하거나 물로 닦는 행위는 피해야 합니다.
- 이 부분까지 손댔을 때 고장이 나면 서비스센터에서도 무상 보증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물청소 시 충분히 건조
- 외부 케이스나 그릴 부분 등 물로 닦은 부품은 물기가 완전히 마른 뒤 조립해야 합니다.
- 습기가 남아 있으면 전기 부품에 문제가 생기기 쉽습니다.
4. 효율적 유지 관리 팁
- 정기적 필터 교체
- 샤오미 공기청정기의 핵심은 필터입니다. 청소만으로 영구 사용은 힘들기에, 권장 교체 주기에 맞춰 새 필터를 사용하면 공기 질이 훨씬 좋아집니다.
- 먼지 적은 환경 유지
- 주변 환경 자체가 먼지가 많으면 금방 다시 더러워집니다.
- 물건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수시로 청소해주면 필터 수명도 길어집니다.
- 센서 점검
-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센서를 사용하는 가전들은 주기적으로 센서를 닦아주면 기기 오작동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앱이나 디스플레이로 필터 상태 확인
- 최신 모델들은 샤오미 Mi Home 앱을 통해 필터 상태를 대략적으로 알려줍니다.
- 표시되는 사용량과 실내 환경을 고려해주면 교체 시기를 놓치지 않고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샤오미 공기청정기는 가성비와 성능 면에서 많은 분들에게 사랑받는 제품입니다. 다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성능이 떨어지거나 센서가 부정확해질 수 있으니, 정기적인 분해·청소가 중요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은 제가 직접 스터디하고 정리한 것이며, 공식 매뉴얼을 대신할 수는 없지만 일상적인 관리에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작은 수고로 깨끗하고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해보세요!
(이 포스팅은 개인적인 의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전문가의 조언이나 공식 서비스센터의 안내를 반드시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생활 테크 제품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보락 물걸레 청소기 쉰내 잡는법!(모델별 정리) (0) 2025.03.03 - 전원 차단